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통매음
- 모욕죄형량
- 명예훼손죄처벌
- 통매음형량
- 통매음혐의
- 통매음경찰조사
- 형사전문변호사
- 명예훼손죄처벌수위
- 명예훼손처벌
- 이철희법률사무소
- 모욕죄성립요건
- 사이버명예훼손
- 명예훼손죄성립요건
- 명예훼손죄
- 모욕죄처벌수위
- 명예훼손
- 명예훼손죄경찰조사
- 모욕죄처벌
- 모욕죄변호사
- 모욕죄
- 사이버명예훼손죄
- 통매음변호사
- 명예훼손죄혐의
- 명예훼손성립요건
- 모욕죄혐의
- 보증금반환
- 통매음처벌수위
- 명예훼손죄형량
- 통매음처벌
- 이철희변호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협박죄성립요건 (1)
변호사 이철희의 법률상담센터

안녕하세요. 형사소송변호사 이철희변호사입니다. 형법 제 283조에 해당하는 협박죄는 특정한 사람이나 그 친족의 생명ㆍ신체ㆍ자유ㆍ명예ㆍ재산 따위에 해(害)를 끼칠 것을 협박하여 타인의 권리와 의무를 침해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로, 본죄가 성립하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협박죄와 형법상 처벌되는 협박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협박죄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상대방에게 직접적인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였을 때 성립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협박죄는 상대에게 직접적으로 폭력을 행사하지 않더라도 성립합니다. 즉 피의자의 행위로 인해 상대가 공포심을 느끼게 되었다면 협박죄가 성립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의미로, 상대방이 단순히..
법률칼럼
2022. 6. 3.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