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모욕죄형량
- 통매음처벌수위
- 명예훼손죄혐의
- 형사전문변호사
- 모욕죄혐의
- 사이버명예훼손죄
- 통매음
- 이철희변호사
- 보증금반환
- 명예훼손성립요건
- 이철희법률사무소
- 통매음혐의
- 통매음처벌
- 명예훼손죄형량
- 명예훼손
- 모욕죄처벌수위
- 명예훼손죄처벌
- 명예훼손죄성립요건
- 모욕죄변호사
- 통매음변호사
- 모욕죄성립요건
- 명예훼손처벌
- 명예훼손죄경찰조사
- 사이버명예훼손
- 모욕죄
- 모욕죄처벌
- 명예훼손죄처벌수위
- 통매음경찰조사
- 명예훼손죄
- 통매음형량
- Today
- Total
변호사 이철희의 법률상담센터
리뷰 테러, 사이버 명예훼손으로 처벌됩니다. 본문
안녕하세요. 형사전문변호사, 이철희입니다.
오늘은 리뷰테러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다른사람이 올려놓은 리뷰를 검색해 구매 및 이용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따라서 리뷰마케팅을 진행할 정도로 리뷰가 홍보 및 기업이미지에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곤 합니다.
이때 고의로 리뷰를 테러해 기업이나 음식점 등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때 후기를 악의적으로 작성하는 것 역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할 때에는 사이버 명예훼손죄가 성립이 됩니다.
따라서 리뷰로 테러를 하는 경우 사이버명예훼손죄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리뷰 테러는 사실을 작성하더라도 형사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은 사실 및 허위사실 유포와 관계없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8motW/btrR7hJDAgw/NlI4pGalACVcf4SHFLFiQ0/img.jpg)
악성리뷰, 최대 7년형까지 징역이 선고될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죄는 오프라인인지 온라인인지에 따라 처벌수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처벌수위를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에 같습니다.
구분
|
처벌형량
|
|
오프라인
|
사실적시
|
2년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이하의 벌금
|
허위사실
|
5년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원이하의 벌금
|
|
온라인
|
사실적시
|
3년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이하의 벌금
|
허위사실
|
7년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원이하의 벌금
|
![](https://blog.kakaocdn.net/dn/m9EWD/btrR6F425D0/KdIC0rvFkubivicYjKeC11/img.png)
명예훼손죄는 성립요건에 해당하여야 처벌이 내려집니다.
즉 특정성(피해자가 누구인지 특정), 공연성(제3자에게 전파될 가능성), 사실 또는 허위사실 적시, 고의성이 존재해야 합니다.
특히 명예훼손적 발언을 온라인에서 할 경우 오프라인 명예훼손보다 처벌수위가 높습니다. 온라인 특성상 전파속도가 빠르고 불특정다수에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혐의가 인정되는 경우 최대 7년이하의 징역형으로 처벌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Cm4IH/btrR8jNprNq/z4UVjrZhuG8xXh9WmkR36k/img.jpg)
사이버명예훼손 외에 업무방해죄로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업무방해죄는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기타 위계로서 사람의 신용을 훼손하거나 위력으로 사람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업무방해의 혐의가 인정되면 5년이하의 징역이나 15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ZTvL/btrR4GwA7vd/vOB3Ywof4G3KXkEKAjSZu0/img.jpg)
다만 업무방해죄는 허위사실의 유포 및 위계, 위력이 있어야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사실이 아닌 거짓의 사실로 허위리뷰를 작성한 경우에만 업무방해죄로 처벌을 받을 수 있기는 합니다.
이때 사실이지만 내용을 과하게 부풀려 피해를 입힌 경우에 형사적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으니 리뷰로 테러하여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게 될 때에는 수사초기부터 전문변호사의 자문을 구해 적극적으로 대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8DfB/btrR7RYbUIl/Kp8jJ76ewQJwc9V4mSfM30/img.jpg)
명예훼손죄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돼 혐의가 있더라도 피해자와 합의를 하게 되면 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리뷰로 인한 기업등은 피해정도가 개인이 입은 것보다 크기 때문에 합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혐의를 받을 때에는 초기 단계부터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선처 또는 감형을 받는데 유리합니다.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변호사 상담이 가능합니다.
'법률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위사실유포죄 성립요건 및 대응방안 (0) | 2022.12.09 |
---|---|
임금체불 신고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12.02 |
모욕죄 성립요건 경찰조사 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0) | 2022.11.18 |
부당해고 기준 및 소송절차 (0) | 2022.11.11 |
사이버명예훼손 벌금 아닌 선처 받기 위해서는? (0) | 2022.11.04 |